코로나19가 계속해서 확산되면서 대면보다는 비대면을 선호하게 되고,
강의도 인터넷강의, 수업도 온라인수업으로 진행하게 되었다
촬영 후 강의자 뒷면에 정보성 이미지를 넣을 때나, 특별히 원하는 소스를 넣을 때 크로마키를 하게 되는데
나에게도 크로마키가 필요한 때가 다가와버렸다 🤣 (내가 아닌 누군가의 영역이라고 생각했었는데... )
정말 눈 앞에 닥쳐버린 크로마키 촬영에 의한 정보정리를 시작해보려한다.
🌈
크로마키 란,
라고 한다.
뒷 배경으로 놓는 색으로는 위에도 말하고 있는 것처럼 파란색 아니면 초록색 배경인데,
둘 중 어느 게 더 좋으냐 물으신다면 정말로 확신으로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초록색 배경이 훠어어얼씬 좋다!
처음엔 크로마키배경 검색해서 블루천을 사서 사용하였는데, 정말 후반작업 시 색이 잘 안 빠지더라. 검색해보니, '블루'라는 색이 정장에도 많이 포함되어있고 특히 한국인 머리색이 완전 검정색이 아니라고 한다. 블루끼가 약간 섞여있다고. (어디에서 본 내용인지는 잘 생각이 나지 않는다🌝) 실제로 후반작업을 했을 때 배경색만 빠지는 것이 아니라 머리색과 정장색이 같이 빠져서 '블루'스크린으로 뒷배경을 하였을 경우 한동안 고생을 많이 했었다. (그 당시 작업자 분께서 ㅎ)
그에 비해서 '그린'스크린이 정장의 색 중에서 대중적으로 보이지 않기도 하고 우리 몸과 겹치는 색이 적어서, 같은 조건에서 촬영하였을 경우 '블루'스크린보다 후반작업이 훨씬 편했었다.
크로마키 촬영준비
처음에 크로마키 촬영을 들어갈 때, 그린스크린이 준비되어있으니 일단 준비를 시작했다.
촬영하는 공간은 여의치 않아 작은 공간에서 시작하였는데, 대략 가로, 세로 3M의 방이었다.
크로마키 촬영의 전제조건은
- 주름없이 쫙 펴진 크로마키 스크린
- 촬영대상자와 크로마키 스크린의 넓은 간격
- 촬영대상자의 '크로마키 스크린의 색이 묻어나지 않는 의상' (스크린의 유사색상은 피하고, 보색으로 하는 것이👏)
- 조명을 셋팅하여 그림자가 보이지 않도록
이다. 일단 생각나는 부분들은 이렇게 네 가지 이다.
여기서 작은 공간으로 인해 촬영대상자와 크로마키 스크린의 간격은 엄청나게 가까웠다. ㅎㅎ 이 조건은 충족시킬 수 없는 환경이었다. 그리고 조명을 셋팅하여 그림자가 보이지 않는 부분에서도 ! 할 말이 많다~ 이 부분은 여기에서 이야기하면 글이 길어지니까 다음 번에 작성해야지.
주름있는 그린스크린의 위험성
촬영할 때 썼던 '그린'스크린은 이전에 사놓은 부분이라 잘 기억이 나지 않는데 녹색천을 사와서 재봉틀로 드르륵 크게 박은 천이다. 양 옆 지지대는 '블루'스크린을 구매했을 때 같이 왔던 아이로 썼는데, 이걸 오랜만에 펼치니 (창고에 봉인되어있던 그린스크린) 무시무시하게 주름이 져있었다. 이걸 땡겨서 쫙 펼치면 되겠지, 라고 안일하게 생각하였는데 그 하나 하나의 주름이 촬영 때 그림자로 잡히고 후반보정 때 뒷 배경이 아른아른 남아있게 되는 사태로 발전되어버렸다. 😫
이런 식으로 주름이 져있었는데, 정말 이건 양 옆에서 쫙쫙 당긴다고해서 되는 문제가 아니었다.
그리고 안 그래도 좁은 방인데, 크로마키를 세우기 위해서 양 옆에 스탠드까지 세워버리니 좁은 방이 더 좁아지게 되어버려서 고민이 많아졌다. 블라인드 형식으로 나온 크로마키천을 사야할 지, 그린색의 다른 재질로 무언가를 사서 벽에 붙여야할 지.
(어, 그런데 후에 CG 잘하는 친구가 똑같은 촬영물로 후반작업을 진행하였는데, 그 친구는 색을 깔끔하게 빼긴 빼더라. CG 응용의 능력인 것 같기도 ... )
벽에 붙인 그린스크린
다음으로 선택한 방법은 새로 구입하는 방법보다는 있는 천을 활용하는 방법이었다.
좌우 스탠드를 빼고 그린스크린을 벽 크기에 맞춰 자른 다음, 벽에 팽팽하게 압정으로 고정하는 방식으로 크로마키촬영 현장을 만들었다.
좁은 공간에서 가격 들이지 않고 기존의 있는 재료로 하는 방법으론 가성비 최고인 것 같다.
이후에 촬영대상자의 위치 및 놓여진 물건배치 그리고 조명 위치 그리고 후반작업 !!! 등등 애매하게 알았던 얕은 지식을 조금씩 조금씩 쌓아가고 있다. 더 나은 촬영을 향해 오늘도 Let's go ~ !
오늘 쓰지 못한 후반작업 (에프터이펙트 Lumetri color와 프리미어 Ultra Key) 와 조명에 대한 내용은 다음 글에 기록해야징
🌈
'촬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명] 조명 위치에 따른 분류와 기구 (0) | 2020.06.30 |
---|---|
[조명] 조명의 기초 3점조명 요소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0.06.25 |
[조명] 조명을 구입한다면 알아보면 좋은 포인트 (0) | 2020.06.11 |
[조명] 조명의 기초_환경에 따른 빛의 기준색과 자연스러움 (0) | 2020.05.28 |
[메모리카드] 메모리카드 종류 및 백업관리 (출처 : Tv로직) (0) | 2020.05.26 |